공부 자료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96rFgaDR5xM&list=PLQdnHjXZyYadiw5aV3p6DwUdXV2bZuhlN&index=6

 

오늘도 화이팅

 

 

 

코틀린에서의 반복문과 증감연산자

 

반복문의 종류

 

조건이 참일 경우 반복을 유지하는 조건형 반복문

 

반복 범위를 정해 반복을 수행하는 범위형 반복문 

 

 

조건형 반복문

 

while, do...while 

 

예제)

 

fun main() {

 

  var a = 0   -------------> 변수 a에 0을 넣는다

  while(a < 5) {   ------------> 조건이 참일 경우

     println(a++)   -------------> a에 1을 더해준다

  }

 

}

 

여기서 증감연산자는,

 

++a, a++, --a, a-- 로써, 1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.

 

그럼, 앞에 붙이는 것과 뒤에 붙이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?

 

전위연산자 ( ++a, --a)는 이미 연산자가 포함된 구문에서 이미 증감된 수를 반영하여 연산이 진행

 

후위연산자 (a++, a--)는 증가나 감소된 수를 해당 구문에서 사용하지 않고 다음 구문부터 사용을 한다

 

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자,

 

fun main() {

 

  var a = 0 

  while(a < 5) { 

     println(a++)   -------------> [a++ 후위연산자]

  }

 

}

 

후위연산자이니, 현재 구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. 그러므로 출력하면

 

0, 1, 2, 3, 4 가 된다.

 

전위연산자의 경우라면, 현재구문을 포함하니 출력하게 되면

 

1, 2, 3, 4, 5 가 된다.

 

 

그럼 다른 하나인, do...while문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?

 

fun main() {

 

  var a = 0

  do

  {

       println(a++)

  }  while (a < 5)

 

}

 

while에 의한 조건을 체크해 반복한다는 점은 같지만 최초 한번은 조건 없이 do에서 구문을 실행하여 while로 조건을 체크한다는 [선후관계]의 차이가 있다.

 

그러므로, 0, 1, 2, 3, 4가 나오게 된다.

 

따라서, 조건과 관계 없이 반드시 한 번은 실행해야 한다면 do...while문을 사용하여야 한다.

 

 

범위형 반복문 for

 

바로 예를 들어보자.

 

fun main() {

 

  for(i in 0..9) ---> 인덱스로 지정할 변수 i를 생성 ( 이 때, for문에서 변수를 지정하는건 var이 필요없다. )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거기에 in을 붙이고 0..9를 놓으면 0부터 9까지 범위가 지정되어 i가 0부터 9 이내로 동작한다.

 

}

 

기본적으로 for문은 1씩 반복을 하는데

 

fun main() {

 

  for(i in 0..9) {

    print(i)    --------------------> print는 println과 다르게 줄을 떼지 않고 출력해주는 함수이다.

  }

 

}

 

화면에 출력을 해보면

 

0123456789가 출력된다.

 

그럼 증가값을 1이 아닌 다른 값으로 할 수 없을까?

 

이 때는, 단계를 뜻하는 step을 옵션으로 붙여주면 된다.

 

 

for(i in 0..9 step 3) 이렇게 하면

 

0369가 출력된다.

 

 

그럼 감소는?

 

for (i in 9 downTo 0)으로 하면 되고

 

감소 역시 뒤에 step을 붙여주면 감소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.

 

 

 

화이팅 내자신

Posted by 노꼴甲
,

 

 

공부 자료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MfQycxjAsg&list=PLQdnHjXZyYadiw5aV3p6DwUdXV2bZuhlN&index=4

 

제대로 공부를 하겠다! 하고 이틀째로군요. 열심히 한 번 해봅시당~

 

 

시작에 앞서, 타입추론이란?

 

 - 변수나 함수를 선언할 때나 연산이 이루어질 때 자료를 코드에 명시하지 않아도 코틀린이 자동으로 자료형을 추론해주는 기능

 

예시를 들어보자면, 

 

val stringValue: String = "문자열을 할당한다"

 

var intArr: Array<Int> = arrayOf(1, 2, 3, 4, 5)

 

에서 우리는 String과 Array<Int>를 생략한 바 있다.

 

이는 변수가 선언될 때 할당된 값의 형태로 해당 변수가 어떤 자료형을 가지는지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

 

대부분 선언할 때 자료를 입력해준다면 굳이 자료형을 명시할 필요가 없다.

 

 

그렇다면 자료형 없이 값을 할당해버리면 어떤 자료형이 지정되는걸까?

 

var a = 1234 라고 놓았을 때는 일반 정수형 Int

var b = 1234L 라고 놓았을 때는 정수형 Long

var c = 12.34 라고 놓았을 때는 일반 실수형 Double

var d = 12.34f 라고 놓았을 때는 실수형 Float

 

Boolean값과 Char도 역시 자료형 없이 추론이 가능하다.

 

 

 

함수

 

main()이나 코드 내에서 사용되는 println("")도 모두 함수.

 

코틀린에서 함수는 어디에나 둘 수 있다.

 

변수가 var이나 val으로 시작되듯 함수도 function의 준말인 fun으로 시작한다.

 

예제

 

fun main() {

 

}

 

fun add(a: Int, b: Int, c: Int): Int {

// a,b,c의 자료형이 Int이고, 결과값의 자료형(반환형)도 Int라는 뜻 //

// 코틀린은 Int끼리 더하면 Int가 나옴. //

    return a + b + c

//return함수는 값을 반환하는 키워드로, return이 발생하면 함수의 중간이더라도 값을 반환하고 함수를 종료하게 된다.//

}

 

여기서 main() 함수 안에 println(add(5,6,7))을 집어넣어 동작시키면

 

a값에는 5, b값에는 6, c값에는 7이 입력되어

 

결과값은 18이 나오게 된다.

 

 

이렇게 단순한 함수는 단일 표현식 함수로 만들 수 있는데,

 

이는 그냥 간단하게 하나의 기능만을 가진 함수이다.

 

fun add(a: Int, b: Int, c: Int) = a + b + c

 

이런식으로 함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.

 

또한, 단일 표현식 함수에서는 반환형의 타입추론이 가능하므로 반환형을 생략할 수 있다.

fun add(a: Int, b: Int, c: Int): Int = a + b + c 이렇게 안해도 됨.

 

 

전 강의를 다 이해할 수 있도록 열심히 하도록 합시다.

Posted by 노꼴甲
,

 

공부 자료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tvtNch-GPEU&list=PLQdnHjXZyYadiw5aV3p6DwUdXV2bZuhlN&index=3

 

열심히 하자

 

적으면서 하니까 뭔가 공부가 되는 느낌이다.

 

 

 

형변환과 배열?

 

이름 듣자마자 공부하기 싫어진다 증말

 

 

일단 함수가 뭔지부터 알아보자.

 

게임에서 매크로와 같은 기능같다. a 버튼을 누르면 이 스킬도 나가고 저 스킬도 나간다.

 

함수를 호출할 시 특정한 동작이나 원하는 결과값을 받아올 수 있다고 한다. 간단히만 알고 가자.

 

 

그럼 형변환?

 

간단히 하나의 변수에 지정된 자료형을 호환되는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기능이다. (논리형은 변환 불가)

 

그냥 자료형 바꾸기라고 생각한다.

 

형변환 함수? toByte(), toShort(), toInt() 등 to 뒤에 자료형을 붙이면 된다.

 

 

예를 들어 Int(32bits)인 a변수를 Long(64bits)인 b변수에 넣는다고 하자.

 

fun main() {

 

    var a: Int = 1234

    var b: Long = a

 

}

 

코틀린에서는 그냥 할당만 해서는 자료형을 변환할 수 없다.

 

반드시 Int형 변수에 toLong() 함수를 호출하여 자료형을 Long으로 변환시켜준다.

 

    var a: Int = 1234

    var b: Long = a.toLong()

 

이런식으로 말이다.

 

이것을 전문용어로서는 명시적 형변환이라고 한다고 하며, 코틀린은 다른 언어들이 지원하는 '암시적 형변환'은 지원하지 않는다 한다.

 

 

배열?

 

일반적인 배열이다. Array<T>라고 하던데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.

 

fun main() {

 

    var intArr = arrayOf(1, 2, 3, 4, 5)

 

}

 

일단 intArr이라는 변수를 지정해주고, arrayOf 함수를 통해 배열에 저장할 값들을 나열해주면 된다.

 

비어있는 함수를 만들고 싶다면

 

var nullArr = arrayOfNulls<Int>(5) 

 

로 만들어주면 된다. 여기서 (5)는 5의 크기를 가진 Null으로 채워진 배열이 된다는 뜻이다.

 

arrayOfNulls 함수는 <>가 들어가는데 이 안에 자료형을 넣어주면 된다.

 

이를 Generic이라고 하는데, 나중에 알려준다고 한다.

 

 

그럼 배열은 어떻게 사용하는가.

 

아까 선언한 변수 intArr에 대괄호를 붙이면 된다.

 

intArr[2] 이런 식으로 쓰면 되는데 여기서 2는 배열 안의 3번째 값을 말한다. (0번째, 1번째 ... 이런식으로 시작하기 때문)

 

 

fun main() {

 

    var intArr = arrayOf(1, 2, 3, 4, 5)

 

    intArr[2] = 8   -------> 해당 위치의 값을 할당할 수도 있고,

 

    println(intArr[4]) -------> 이런 식으로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.

 

}

 

실행해보면,

 

5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(배열은 (1, 2, 8, 4, 5)가 된다. 3번째의 값을 8로 바꿨기 때문)

 

 

열심히 하자

Posted by 노꼴甲
,

 

공부 자료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ZMOsbFCEeCY&list=PLQdnHjXZyYadiw5aV3p6DwUdXV2bZuhlN&index=2

 

 

나는 이 분의 유튜브 강의를 보며 공부한다.

 

일단 첫 강의이고,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운받지 못했거나 아예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코틀린 강좌 #1을 보길 바란다.

 

 

 

주석 : 많은 언어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의 주석을 지원한다.

 

// 주석 //  이렇게 두 줄을 긋기도 하고, 여러 줄로 나눌 때에는 /*줄마다 *앞에 *별표 */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.

 

 

클래스 이름의 표기법 : 파스칼 표기법. [ClassName] 이런 식으로 모든 단어의 시작 첫 글자는 대문자로 사용한다.

 

 

함수나 변수 이름의 표기법 : 카멜 표기법. [functionName] 첫 단어의 시작만 소문자, 나머지는 대문자로 사용한다.

 

 

 

변수 선언 : var, val 로 시작한다.

 

var = 일반적인 변수이며, 언제든 읽기 쓰기가 가능하다.

 

val = 일반적인 변수이지만, 선언 시에만 초기화가 가능하고 중간에 값을 변경할 수 없다.

 

 

 

변수는 선언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.

 

클래스에 선언 될 경우 : Property (속성) [아직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]

 

이외 스코프에 선언 될 경우 : Local Variable (로컬 변수) [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]

 

-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으니까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자.

 

 

 

 

https://play.kotlinlang.org에 들어가서 웹으로 컴파일을 간단하게 시작해보자.

 

 

fun main() {        --------> 메인이라는 함수 안에

 

     var a: Int       --------> var으로 변수 a를 지정하고, a의 자료형은 Int이다. ( : 을 붙여 자료형을 지정하는 듯)

     printf(a)        --------> a의 값을 출력한다

 

}

 

하지만 이렇게 하면, var쪽에서는 warning이,

 

printf쪽에서는 error이 뜰 것이다.

 

여기서,

 

warning은 실행에 큰 문제가 없지만 약간의 오류가 있다고 알려주는 것이고,

 

error은 구문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컴파일 자체를 할 수 없게 만드는 오류이다.

 

컴파일? : [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 있는 문서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옮기는 프로그램을 말한다.]

 

 

error쪽으로 마우스를 대보면 변수 'a'가 반드시 초기화 되어야 한다고 나온다.

 

이 말은 'a'라는 변수에 아무런 값이 할당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다.

 

var a: Int = 123

 

이렇게 변수 a를 123으로 지정해주자. (여기서 '='는 할당연산자이며,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넣어준다고 보면 된다.)

 

그러면 오류가 사라지고 a의 값인 123이 printf에 의해 출력된다.

 

**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것은 반드시 선언시에 할 필요는 없으며, 변수를 참조하여 사용하기 전까지만 해주면 된다.

 

 

var a: Int

 

a = 123

 

이런식으로 말이다.

 

 

그리고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았다는 것을 하나의 정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.

 

이런 경우는 변수 선언시

 

var a: Int? = null 처럼 자료형 뒤에 물음표를 붙여주면 된다. (Null을 허용하는 Nullable 변수로 지정)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이게 무슨 말인지 고민해봤는데 아마 스위치의 On / Off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.

 

변수에 값이 들어있을 경우 = 스위치 On 명령

 

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(Null) = 스위치 Off 명령 이런식으로 말이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** Nullable 변수는 Null Pointer Exept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주의해서 사용해야한다.

 

 

 

 

<이하 코틀린 자료형 정리>

 

숫자

 

정수형 : Byte (8bits) Short (16bits) Int (32bits) Long (64bits)  [여기서 아마 IntLong을 많이 쓰지 않나 싶다.]

 

실수형 : Float (32bits) Double (64bits) 

 

사용하고자 하는 숫자의 범위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.

 

2진수와 10진수, 16진수가 있지만 나에게는 아직 어려울 것 같아 공부하지 않았다.

 

 

문자

 

1개의 문자 : char , 작은 따옴표로 문자를 감싼다.

 

여러 단어의 문자 : String

 

Boolean (참값 혹은 거짓값) : true, false로 지정.

 

일반적으로 문자를 쓸 때는 큰 따옴표(")로 지정해주면 된다.

 

 

 

 

기본 중 기본이므로 꼭 외우자.

Posted by 노꼴甲
,